본문 바로가기
미글 법률정보

국가계약법이란? 개념부터 적용범위까지 완벽 해설|국가계약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법률

by 박미글 2025. 4. 23.
반응형

 

국가계약법이란? 개념부터 적용범위까지 완벽 해설|국가계약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법률

국가예산으로 진행되는 공사, 물품 구매, 용역 계약 등은 민간계약과는 전혀 다른 기준과 절차를 따릅니다.
이러한 계약에서 반드시 따라야 하는 기준이 바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줄여서 **“국가계약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가계약법의 정의, 목적, 적용 대상 및 범위, 실무적 의미를 상세하게 정리하여, 공공계약 실무자뿐 아니라 관련 업계 종사자, 입찰 참여 기업에게도 실질적인 이해와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했습니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법률)(제20401호)(20240927).hwp
0.21MB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제35453호)(20250422).hwp
0.48MB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기획재정부령)(제01102호)(20250102).hwp
0.31MB


✅ 국가계약법이란?

국가계약법은 국가기관이 물품을 구매하거나 공사·용역 계약을 체결할 때,
그 절차와 방식, 책임을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규정해놓은 대한민국의 기본 법률입니다.

법령 명칭: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법률 제20401호)
▶ 2024년 9월 27일 시행

🧭 법률의 주요 목적

  • 공정한 계약 체결: 부당하거나 비리성 계약을 방지
  • 투명한 예산 집행: 국가 예산 낭비 방지
  • 중소기업 보호: 경쟁 기회를 공정하게 제공
  • 분쟁 예방 및 책임 명확화: 법적 기준 마련

즉, 이 법은 “국가가 공정하게 예산을 집행하며, 기업이 차별 없이 경쟁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는 취지를 갖습니다.

 

반응형

📌 국가계약법의 적용 대상 기관

이 법은 국가기관이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다음과 같은 기관이 포함됩니다.

  • 중앙행정기관: 예)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등
  • 헌법기관: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타 기관

지방자치단체는 제외되며, 별도로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지방계약법)』이 적용됩니다.


📌 어떤 계약에 국가계약법이 적용될까?

다음과 같은 계약들이 국가계약법의 규율 대상입니다:

  1. 물품의 구매, 제조, 임차 계약
    • 예: 컴퓨터 납품, 사무기기 임차, 전산장비 구매
  2. 공사 계약
    • 예: 도로공사, 청사 리모델링, 군부대 공사
  3. 용역 계약
    • 예: 연구용역, 유지보수용역, 청소·경비 위탁
  4. 지급자재 공급 계약
    • 국가에서 자재를 공급하고 시공은 민간업체가 진행하는 방식

✅ 계약금액에 따른 적용 차이

  • 일정 금액 이하일 경우 **수의계약(경쟁 없이 계약 가능)**이 가능하나, 그 요건은 매우 엄격하며 대통령령(시행령)에 따릅니다.
  • 계약금액이 크거나 공익성이 높을수록 경쟁입찰이 원칙입니다.

💡 국가계약법의 기본 원칙 3가지

국가계약법은 모든 계약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릅니다.

1. 공정성의 원칙

계약은 모든 참여자가 동등한 기회를 갖고 평가받을 수 있도록 공정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평가기준과 낙찰기준은 명확하게 고지되어야 합니다.

2. 투명성의 원칙

계약의 과정과 결과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공개되며, 입찰 공고·결과·이의신청 절차 등이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3. 효율성과 책임성

국가예산이 낭비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집행하며, 계약 담당자의 법적 책임도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 국가계약법의 하위 법령 구성

구분법령명주요 내용
상위법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계약의 기본틀, 정의, 의무, 책임
시행령 국가계약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5453호, 2025.4.22 시행) 입찰, 계약금액 기준, 수의계약 요건 등
시행규칙 국가계약법 시행규칙 (기획재정부령 제1102호, 2025.1.2 시행) 계약서식, 보증서류, 전자조달 규정 등

따라서 실무자는 반드시 법률 + 시행령 + 시행규칙을 함께 숙지해야 올바르게 계약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실무 팁: 국가계약법은 이런 상황에서 반드시 확인하세요

  • 입찰 참여를 준비할 때: 참가자격, 제출서류, 계약조건 확인 필요
  • 계약 해지를 검토할 때: 해지 사유와 손해배상 기준 확인
  • 수의계약 검토 중일 때: 금액 기준과 법적 요건 철저히 검토
  • 계약대금이 늦게 지급될 때: 지체상금, 이자청구 여부 확인
  • 중소기업이 공공조달 시장에 진입할 때: 우대제도 및 제한요건 확인
  • 하도급 처리 중 분쟁 발생 시: 원청의 책임 범위와 하자보수 의무 확인

 


✅ 마무리

국가계약법은 단순한 법률이 아닌, 국가재정을 공정하게 사용하고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한 실무 핵심 도구입니다.
특히 공공입찰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계약을 담당하는 공무원이라면 이 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숙지해야 분쟁 없이, 투명한 계약 체결과 이행이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